공부

OSI 7계층

B612 2023. 6. 1. 12:42

계층별로 프로토콜을 개발해 네트워크 구성 요소들을 모듈화할 수 있다.

 

1. 물리 계층

주로 전기 신호 전달.

전기 신호가 들어오면 재생성해서 전기 신호가 들어온 포트를 제외하고 모든 포트에 전송한다.

 

*통신 단위: 비트

2. 데이터링크 계층

들어온 전기 신호를 데이터 형태로 처리하고, 데이터에 대한 에러 탐지가 가능하다.

스위치는 목적지의 MAC 주소를 파악하고 목적지가 연결된 포트로만 전기 신호를 보낸다.

 

*통신 단위: 프레임

3. 네트워크 계층

라우터는 IP 주소를 사용해 최적의 경로를 찾고 해당 경로로 패킷을 전송한다.

 

*통신 단위: 패킷

4. 전송 계층

패킷이 유실되거나 순서가 바뀌는 것을 바로 잡는 등 데이터가 정상적으로 잘 보내지도록 확인한다.

 

시퀀스 번호와 ACK 번호를 사용한다.

시퀀스 번호는 패킷에 보내는 순서를 나타내고, ACK 번호는 받는 순서를 나타낸다.

 

*통신 단위: 세그먼트

5. 세션 계층

TCP/IP 세션을 만들고 없애는 책임을 진다.

 

*통신 단위: 데이터

6. 표현 계층

표현 방식이 다른 애플리케이션이나 시스템 간의 통신을 돕기 위해 하나의 통일된 구문 형식으로 변환시킨다.

암호화, 압축, 코드 변환 등이 이루어진다.

 

 

*통신 단위: 데이터

7. 어플리케이션 계층

네트워크의 소프트웨어의 UI 부분이나 사용자 입/출력 부분을 정의한다.

 

*통신 단위: 데이터